앰프는 말그대로 확성,증폭 시켜주는 장치입니다.  일렉기타의 특성상 기타자체로의 소리는 너무나 작기 때문에

이를 확성시켜주는 장치가 필요로 했고 1940년대말 레오펜더가 기타리스트용으로 진공관 앰프를 만든 것이

본격적인 기타앰프의 시작 이였습니다.  

 이후 펜더의 앰프가  영국으로 건너간후 펜더에서 흔히 사용하던 6L6 진공관이 아닌 유럽에서 흔히 구할 수

있는 EL84,EL34로 앰프를 만들 게 된 것이 복스와 마샬입니다. 특히 마샬은 디스토션을 강조하여 공격적인

사운드가 가능하게끔 만들었고 지금 흔이들 볼 수 있는 앰프의 헤드와 케비넷이 별도로 있는

마샬의 트레이드 마크를 만들었습니다.  

 하지만 마샬의 거대한 시스템은 기타리스트들에게 부담이 되었고 이에 컴팩트한 사이즈에서도

풍부한 게인을 얻을 수 있는 메사/부기 앰프가 탄생되었습니다.   

아이러니컬 하게도 지금은 메사/부기가 더 고가라 기타리스트들에게 부담을 주고 있죠 ...

 

   앰프의 구분  

    

  기능상 구분   

          - 프리앰프 ( Preamp )   

          프리앰프는 말 그대로 전치앰프로  본격적으로 증폭이 이루어 지는 파워앰프 앞단에 위치하는

          부분으로 파워앰프가 증폭하기 좋은 신호의 크기로 기타의 신호를 증폭해주고

          각종 이퀄라이저 부분을 통하여 톤을 조절하는 부분입니다.  여기서 앰프들의 1차 색깔이 만들어

          집니다.   

        - 파워앰프 ( Poweramp )

          흔히들 오디오에서 메인앰프로 말하는 부분입니다.  프리앰프에서 알맞게 증폭되고 톤이 다듬어진

          신호를 청취가 가능하도록 풀 증폭해주는 부분입니다.   

           

 

     일반적인 앰프는 위의 그림과 같은 구성입니다.  프리앰프에서 파워앰프로 넘어 가는 부분을 가로 채는 것이

     바로 Send/Return입니다.   위와 같은 원리로  프리앰프를 별도 사용할시에는 Return부 , 즉 파워앰프에

     연결하게 되는 것입니다.  

 

     

   외형상 구분   

         -  콤보 앰프 (Combo Amp)   

             콤보앰프는 우리가 가정에서 사용하고 있는 앰프들로  하나의 캐비넷안에 프리앰프와 파워앰프

             그리고 스피커를 갖추고 있는 앰프 타입니다.  비교적 휴대가 간편하고 (물론 안간편한놈도 있지만)

             가정또는 소규모 공연장에서 사용하기 좋으며  대형 공연장에서도 마이킹을 통해 사용이 가능합니다.

           

                  [ 대표적인 콤보앰프 마샬 VS65R ]

                  

 

 

           - 헤드앰프 ( Head Amp )

             앰프의 프리앰프와 파워앰프부만을 따로 때어서 앰프부를 만들고 구동부인 스피커는 별도의 케비넷을

             연결하여 구성되는 앰프입니다.  사용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케비넷을 연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운반이 힘들다는 단점이 있고 비교적 대형 공연장에 적합 합니다.  

 

                         [ 막강파워 메사/부기의 듀얼렉티파이어 헤드 ]

             

 

     

   증폭방식에 의한 구분   

         -  진공관 앰프 (Tube amp or Valve )   

             말그대로 진공관으로 증폭부가 이루어진 앰프로  최초의 기타앰프 방식이며 지금도 기타앰프의

             진정한 맛은 진공관 앰프라고 할 수 있습니다.  풍부하고 자연스러운 게인과  부드러운 크린은

             TR 앰프가 흉내낼 수 없는  기타앰프만의 특징이며  많은  진공관 앰프들이 대부분

             프리부는 12AX(ECC83)을 이용하나  파워앰프는 회사에 따라 6L6  또는 EL84/34를 사용합니다.

             비교적 고가이고 관리에 신경을 써야 하나  많은 기타리스트들이 이방식을 선호 하고 있습니다.  

 

              [ 대표적 진공관 앰프 펜더 트윈리버브와 마샬 JCM 900 ]

             

 

          -  트랜지스터 앰프 (TR amp )   

             진공관과 달리 증폭부가 TR로 이루어진 앰프입니다.  현재 많은 앰프들이 이 방식으로 만들어 지고

             있으며 비교적 저렴함과 관리의 간편함등으로  연습용 앰프들부터 고가 앰프까지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지고 있으며 더욱 발전된 DSP 기술을 이용하여  멀티이펙터까지 내장한 다양한

             앰프가 만들어 지고 있습니다.  차가운 게인과 깔끔한 크린톤이 특징이나 이부분도 많은 노력에

             의해 진공관적 느낌이 나도록 많이 만들어 지고 있습니다.   

 

                                              [ 연습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펜더 프론트맨 15R ]

      

 

         -  하이브리드 앰프 ( Hybrid amp )   

             TR 앰프의 단점을 커버하고자 프리부에 진공관을 넣고 파워부는 TR로 구성된 앰프입니다.  

             비교적 저렴하게 진공관 사운드를 즐길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당연히 풀 진공관과는 다른 맛입니다.

             마샬의 Valve 시리즈가 대표적인 하이브리드 앰프입니다. (30R 이상)

 

   앰프의  관리 방법
 

         - 진공관앰프 관리

           진공관 앰프는 TR 앰프와는 달리 관리를 해주어야 합니다.   진공관 앰프를 사용할 때는

           사용전에 먼저 "Power" 스위치를 켜고 진공관을 예열한 후 " Stand by " 스위치를 켜서  앰프를

           사용합니다.  사용한후에는 이와 반대로 " Stand by" 스위치를 끈후 진공관을 식힌후  "Power "

           스위치를 꺼서 완전히 사용을 마칩니다.   이때 시간간격들은 1~2분이 적당합니다.    이것은

           진공관의 수명을 오래 하기 위한 것이고 갑작스런 충격에 진공관이 상하는 것을 방지 합니다.

           또한 이펙터를 교체한다든지 기타를 교체할 때는 반드시 "Stand by"스위치를 꺼놓고 합니다.

           진공관앰프는 소리가 이상했다든지 이상이 없어도 주기적으로  진공관을 검사 하여야 합니다.

           1년에 한번정도 정기 점검을 하면 되는데  진공관이 검게 그을린 부분이 많아질수록 수명이

            다된 것입니다.  또 진공관 교체시기가 오면 잡음이 많아 지기도 합니다.  

       - TR앰프 관리

          TR 앰프는 진공관과 달리 비교적 신경쓸 것이 적으나  역시 이펙터 교체시나 기타교체시

           앰프에 연결되는 케이블을 뽑거나 볼륨을 완전히 낮춘 상태에서 작업을 합니다.

           그러지 않으면 스피커나 나갈 우려가 있습니다.  

  


'Music Equipmet > AMP' 카테고리의 다른 글

ValveState 15  (0) 2011.10.21
Classic 20  (0) 2011.10.21
Page G25  (0) 2011.10.21
GTA-15R  (0) 2011.10.21
JAGUR CM10  (0) 2011.10.21
Posted by tomoday1

댓글을 달아 주세요

사실상 첫 오리지날 브랜드 기타를 산게 90년도말 프로모션 모델로 나온 Traditional Tele였다.

( 나중에 후회했다. 그냥 빈티지 텔레
사도 됬는데)  당시 까지만 해도 악기에 지금처럼 돈을 쓰게 될거라고

생각하지 않았기 땜시
(당시는 제정신이었으므로)  마침 나온 트레디셔널 모델을 샀다.  원래의 바디는 검정색이었고

픽가드는 흰색이었다.  

 트레디셔날 모델은 미국산 Fender를 갖고 싶으나 돈이 짜치는 기타키즈들을 위해 내놓은 저가형 모델이다.


물론 썩어도 준치라 펜더의
소리는 당연히 난다.  가격대에 그만한 소리면 좋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사놓고 조금씩  


불만이
생겨  처음에는 마크노플러 처럼 빨간색 바디를 스카이에서 사서 바디 교체를 했었으나 스카이에 들렸다가


원피스 에쉬 바디를 보고
주저없이 바디를 바꾸었다.  그리고 현재의 픽업은 Fender Noiseless Tele 픽업이다.  


잡음은 확 줄고


Tele 본연의 소리는
그대로 잘 살려 주고 있다 .  텔레, 특히 에쉬 바디는 음이 맑고 선명하고 힘이 있다.  


요즘은 주로 하프톤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원래는 리어의 그 ....  귀를 찌르는 날카로운 소리를 좋아한다.   


리어로 연주를 하면
마눌이 괴로워 하는지라 마눌이 쉴 때는  하프톤을 사용한다.  



스카이 에쉬바디는
좀 무겁다는 단점 (북미산이다.)이 있지만  울림도 좋고 무늬나 피니쉬도 쓸 만하다.



몇 번 이놈을 퇴출시키고 빈티지 텔레를 다시 살까 했었는데 정이 너무 들었고 소리가
좋은지라 퇴출을 안하고 있다.

 

얼마전에는 브리지도 빈티지 타입으로 바꾸고 뚜껑까지 달아 외견상으로는 빈티지라고 혀도


속을 상황이다. 물론 소리도 눈감고 들으면 거의 티가 나지 않는다 .......


'Music Equipmet > Guitar'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ckson Performer PS-4  (0) 2011.10.21
Ibanez RG 350 DXWH  (0) 2011.10.21
Jackson SL-1 Red Ghost Flames  (0) 2011.10.21
Fender Stratocast American Delux Model (N)  (0) 2009.06.02
Kramer  (0) 2009.06.02
Posted by tomoday1

댓글을 달아 주세요


마눌이 생일 선물로 사준 물건으로 제대로 된 펜더로는 첫 제품이다.  스펙에서 알 수 있지만 최상의 부품으로

 
(뭐 마스터빌더나 커스텀들 있지만)  
만들어져 있고 곳곳에 연주자를 위한 배려가 담겨있는 제품이다.  


  원래 픽업이었던 Noiseless를 때어 내고 던컨 클래식 스택 시리즈로 바꾸었다.  하프톤에서는 펜더의 트레이드


마크인   
페이즈오프된 유리알 소리,  정말 사람을 달콤하게 만들어 준다.  그 느낌은 비누칠을 한 여성


(물론 마눌이겄죠 ?)


의 피부를 만지는 느낌이다.  또한 기존 픽업셋에서 좀 불만이었던 리어 픽업의 깐깐한 소리도  듣기 좋게 바뀌었다. 
 


게인역시 스택픽업
답게 부드럽게 잘먹는다.  물론 험버커 처럼 강하진 않지만 나름대로 잘 먹는다.
  

  아메 디럭스의 장점은 뭐니 뭐니 해도 넥에 있다. 로우 포지션은 코드워킹에 쉽게 도톰하게 되어 있고


하이 포지션으로   갈수록 납작하게 바뀌어 하이포지션
에서의 테크니컬한 연주시 편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넥의 가장자리가 가공되어 잘 길들여진 넥의 느낌을 받게 된다.   


  
원래는 선버스트 칼라를 별로 좋아 하지 않았는데
결제자의 강력한 요구로 샀는데 볼수록 때깔이 나는 것 같다.


  그리고 트레몰로도 투포인트 인데 비교적 안정적이고 줄감개는 스페즐 락킹넛이다.  어차피 이걸로는 강한  


 아밍을 안하는지라 ....

  

일반적으로 빈티지를 너무 선호해서 아메 디럭스를
사고 싶으나 망설이는 사람들을 많이 보았는데 절대


후회 하지 않는다.  



지금은 형,동생하는 ImDDR님도
그러한 질문을 했다가 결국 아메 디럭스를 샀고 그 인연으로 계속 만나고 있다. 

  

 펜더는 어린시절 꿈의 기타였는데  처음 사고 자다가도 일어나 확인해 보곤 했다. 정말 좋은 제품임에 틀림없다


'Music Equipmet > Guitar'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ckson Performer PS-4  (0) 2011.10.21
Ibanez RG 350 DXWH  (0) 2011.10.21
Jackson SL-1 Red Ghost Flames  (0) 2011.10.21
Fender Tele Traditional Model Modify  (0) 2009.06.02
Kramer  (0) 2009.06.02
Posted by tomoday1

댓글을 달아 주세요